Android
-
[android] MapView와 ItemizedOverlay 사용 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는 경우기술 관련/Android 2010. 4. 3. 19:29
Android SDK에는 Open Source를 이용한 API와 함께 Googl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는 별도의 API가 포함된 SDK가 있다. 이를 이용한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MapView일 것이다. MapView는 사용자가 만드는 Android Activity에 Google Map을 보여주는 View 클래스이다. 이를 이용하면 Google Map 서버에서 지도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꽤나 유용하다. 물론 Google이 직접 만든 Google Map App과는 차이가 있지만 거의 비슷하게나마 사용 할 수 있다. Google Map App에서 검색을 할 경우 화면에 보여지는 것은 ItemizedOverlay라는 것을 이용한다. 이는 지도 화면 위에 아이템을 투영하여..
-
[Android] SDK Build시 SDCard 인식 오류 문제기술 관련/Android 2009. 12. 8. 15:41
Custom SDK로 Build한 경우 SDcard를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SDCard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target의 경우 sdcard의 삽입이나 분리를 통해 mount를 인식하게 되어 있다. SDK는 해당 이미지를 로딩하도록 되어 있는데 초기에 mount를 하지 않아 sdcard의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cupcake 기준) 이럴 경우 Emulator를 실행 후 ADB shell에서 다음과 같이 sdcard를 mount 해 주면 된다. 1. Root 권한으로 adb 실행 > cd android-sdk-windows-1.5_r2\tools > adb root 2. Shell 진입 > adb shell 3. Mount 정보 확인 # mount mount rootfs / rootfs..
-
[android] Android Virutal Device 생성하기기술 관련/Android 2009. 6. 12. 17:01
Android SDK가 version 1.5 로 업데이트 되면서 AVD (Android Virtual Device)를 생성한 글을 포스팅 (Android SDK 1.5 업데이트 참고) 했었다. 이번에 SDK 1.5 r2로 버젼이 올라가면서 생긴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AVD를 보다 손쉽게 생성하는 방벙이 있어서 몇 자 적어 본다. Eclipse에 Android Plug-In이 설치되면 Tool bar가 같이 생성된다. 이 Toolbar에 AVD를 관리하는 AVD Manager가 있다. 이를 이용하면 Console에서 Command Line으로 생성하는 것 보다 더 간편하게 AVD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Console에서는 여러가지 옵션을 적용 할 수 있지만 일반적 사용자들은 이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
[android] Wizard에서 Android XML File 생성 시 오류 발생 문제기술 관련/Android 2009. 6. 11. 18:08
이번 Android SDK가 v1.5 r2로 업데이트 된 후 이전에 안보이던 문제가 생겼다. 프로젝트에서 Android XML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Wizard를 실행 할 경우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생성이 되지 않는다. The sleected wizard could not be started. .. Reason: Plug-in com.android.ide.eclipse.adt was unable to load class com.android.ide.eclipse.wizards.NewXmlFileWizard Eclipse 플러그인과 관련된 버그 같은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Eclipse Europa 버젼이 문제인지는 확인 해 봐야겠다. 급한대로 일반 파일을 만든다음 XML로 확장자를 변경해서 사용 하라..
-
[android] Application, Activity 그리고 Task기술 관련/Android 2009. 6. 8. 11:20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Application 이외에 Activity도 있고 Task 라는 개념도 있다. 이런 개념은 일반적인 OS의 것과 사뭇 달라 약간 혼란스러운 면이 있다. 일단 이런 용어들은 안드로이드에서만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으로 생각하고 전반적인 모습을 살펴보도록 하자. 1. Android Applicatin Basic Concept 안드로이드 Application의 기본적인 컨셉은 Application, Activity, Activity Stack 그리고 Task의 4가지이다. 각각의 컨셉은 다음과 같다. a. Application Application은 하나 이상의 Activity와 Resource 등이 하나로 묶여 있는 꾸러미 (Bundle)를 말한다. Application은 APK 형식의..
-
[android] SDK v1.5 r2 릴리즈기술 관련/Android 2009. 6. 3. 23:30
Android SDK v1.5 r2 가 릴리즈 되었다. http://developer.android.com/sdk/1.5_r2/index.html 기존 SDK와 마친가지로 해당 Platform 별로 파일을 받아 적당한 디렉토리에 압축을 해제한다. SDK와 함께 Eclipse Plugin도 업데이트 되었으므로 Help 메뉴의 Software Update로 해당 Android DDMS 와 Development Tool 등을 업데이트 해 준다. 그런데 다음과 같이 Plug-In 업데이트 도중 의존성 검사에서 fail이 발생하여 Plug-In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Unsatisfied dependency ... requiredCapability: org.eclipse.equinox.p2.iu ... 이..
-
[android] Android Dev Phone Firmware 복구 하기기술 관련/Android 2009. 5. 28. 16:30
전에 업급했듯 Android 단말은 개발용 단말인 Dev Phone 1과 상용 단말인 G1 단말이 있다. Dev1과 G1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adb service의 제공 여부다. adb service는 SDK와 단말 사이에 대한 Protocol을 지원하는 것인데 G1은 상용 단말이므로 기본 동작은 disable 되어 출시된다. Dev Phone은 G1과 달리 이통사와 상관 없이 출시되고 또한 기업의 개발자들이 구매를 하므로 G1 보다 구매 가격이 높다. 따라서, G1을 이미 구매한 사람들이나 일반적인(?) Android 프로그래머는 단말에서 테스트 하기 어렵다. 그런데, Dev1이 아닌 G1 단말에서도 adb를 가능하게 해 주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초기 Android Version의 Back door..
-
[android] Linux에서 Android 단말 USB 인식하기기술 관련/Android 2009. 5. 7. 13:27
Fedora Linux의 경우 기본적으로 Android 단말을 연결했을 때 USB 장치로 자동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ADB를 이용하기 위해선 USB Device에 대한 몇 가지 설정이 필요하다. 1. USB Device 정보 추가 $ vi /etc/udev/rules.d/99-android.rules 2. 다음과 같이 내용 편집 SUBSYSTEM=="usb",SYSFS{idVendor}=="0bb4",SYMLINK+="android_adb",MODE="0666" 3. 다음 명령으로 usb 장치 재인식 $ udevcontrol reload_rules 이제 단말을 연결하고 다음과 같이 Device정보를 확인한다. $ $ANDROID_SDK/tools/adb devices * daemon not running..